알고리즘(3)
-
프로그래머스-탑
문제만 잘 이해하면 쉽게 풀 수 있다. 글로 이해하려면 조금 헷갈린다. 그림을 그려보면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다. 입출력 예 1을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.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1 2 3 4 5 탑이 위와 같이 있을 때 출력되는 결과는 [0, 0, 2, 2, 4] 이다. 1번째와 2번째는 0 3번째와 4번째는 2 5번째값은 4를 출력했다. 공통점을 찾아보자 1~5순서대로 서로 비교하다가 숫자가 작아지면 큰 숫자를 가진 탑이 기준이 된다. 초기 기준값은 0으로 해서 1번째, 2번째 탑의 기준은 0이다. [0, 0] 2번째 탑이 가지는 값(9)보다 3번째 탑이 가지는 값(5)이 작다. 따라서 기준은 2번째 탑이 된다...
2019.04.20 -
프로그래머스-주식가격
문제 설명을 쉽게 풀이하자면 기준이 되는 수와 나머지 수를 비교하여 숫자가 크거나 같은지 혹은 작은지 알면 되는 문제이다. ex) 배열의 0번째 수 1과 나머지 2, 3, 2, 3 을 비교했는데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4가 출력되었다. 배열의 2번째 수 3과 나머지 2, 3 을 비교했는데 바로 다음 숫자인 2가 3보다 작고 1초간 숫자(가격)의 변화가 없었으므로 1을 출력한다.
2019.04.19 -
교환정렬 알고리즘
교환정렬, 말 그대로 교환과 정렬을 하는 알고리즘 입니다.정렬을 하기위해 배열의 요소를 교환합니다. 123456789101112131415def exchange (n, S=[]): for i in range(n): j = i+1 for j in range (n): if (S[j]
2019.01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