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. 10. 17. 20:56ㆍ개발노트
리눅스의 기초2
ls -a 명령어 입력시
. 으로 시작하는 파일 : dot file (현재 디렉토리 정보)
.. 은 상위 디렉토리 정보
path
absolute path (절대경로) /..../....
relative path (상대경로) ., ..
ls -l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.
맨 앞에 'd' 가 나오면 디렉토리 '-'가 나오면 file 이다.
r = 읽기 w = 쓰기 x = 실행을 뜻한다.
맨 첫 줄을 제외하면 rw- rw- r-- 이런 식으로 남게 되는데
3글자씩 끊어서 각자
소유자, 그룹, 공개의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겁니다.
이 글자들은 2진수로 나타낼 수 있는데
글자는 모두 1로 '-' 는 0으로 나타냅니다.
예를 들어서 rw- rw- r-- 이라면
110 110 100 이 됩니다.
10진수로 6 6 4가 됩니다.
파일의 권한을 변경 하고 싶다면
chmod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.
chmod [변경할 소유자] [변경할 파일]
현재 6 6 4 의 파일을 7 7 5 로 변경하기
변경 : chmod [775] [test.txt]
cd로 홈 디렉토리 가는 방법
여기서 id 란 현재 사용자
who 명령어로 확인 할 수 있음
1. cd /home/ID
2. cd ~ID
3. cd ~
4. cd
디렉토리 만들기
mkdir [파일이름]
디렉토리 지우기
rm [파일이름]
rm -i 지울 것 인지 묻기
rmdir 빈 디렉토리만 지울 수 있음
rm -fr 강제삭제
파일명 뒤에 *표시 = 실행 가능한 파일